커뮤니티
메타인지 영문법
Menu
메타인지 영문법
4. 영어 문장의 5형식
작성자
meta
작성일
2022-01-19 19:28
조회
661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영어 문장의 형태를 문장의 구성 요소에의해
5가지 문형으로 나눈 것을 영어 문장의 5형식이라고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영어 문장의 패턴입니다. * 별도로 문장의 5형식을 학습할 필요는 없습니다.
메타인지 영문법에서는 문장의 5형식이 어떻게 표현되는지 기존 영문법과 비교해 보세요
1형식 - 주어(S)+동사(V)
대상(목적어나 보어) 없이 주어, 동사, 배경 등으로만 이루어진 문장이며
이때의 동사는 완전자동사라고 합니다.
Ma gets up early.
엄마는 일찍 일어난다.


2형식 - 주어(S)+동사(V)+보어(C)
2형식을 이루는 동사는 보어가 있어야 문장이 완성되므로 불완전자동사라고 하며
이때 보어는 주어의 성질, 상태를 설명하는 주격 보어라고 합니다.
메타인지 영문법에서는 보어를 2가지 형태로 나눕니다.
1. 보어로 명사가 쓰였을 때는 '일반 대상(노란색 표시)'으로 사용하며 be 동사는 한국어의 '~이다'로 해석합니다.
He was an RAF pilot.
그는 영국 공군 조종사였다.


2. 보어로 형용사가 사용되었을 때는 '상태 대상'으로 표기하며 살색으로 표시합니다.
이때 be 동사는 한국어의 '~상태이다'로 해석하며 상태 대상과 함께 쓰여 한국어의 합성어화 됩니다.
그리고 상태, 상태의 변화, 상태의 외형, 상태의 감각(keep, grow, seem, get, taste) 등을 취하는 동사들과
함께 쓰여 한국어의 합성어화 됩니다.
*한국어와는 다른 구조의 표현입니다. 꼭 숙지해 주세요~
The net is huge.
그 그물은 거대하다.
*원어민 감각 : The net(그 그물은)... is(상태이다)... huge.(거대한)
→ 한국어 : (상태이다)+(거대한) = '거대하다.' 합성어화 사용


3형식 - 주어(S)+동사(V)+목적어(O)
주어, 동사, 일반 대상(목적어)을 갖는 문장으로
이때의 동사는 완전타동사라고 합니다.
I hate rats.
나는 쥐를 싫어한다.


4형식 - 주어(S)+동사(V)+목적어1(O1)+목적어2(O2)
대상(목적어)을 2개(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취하는 문장입니다.
일반적으로 간접목적어는 '~에게'로, 직접목적어는 '~을/를'로 해석합니다.
이때의 동사는 '~에게 ···을 주다'라는 의미에서 수여동사라고 합니다.
He teaches me English twice a week.
그는 일주일에 두 번 나에게 영어를 가르친다.


5형식 - 주어(S)+동사(V)+목적어(O)+보어(C)
5형식은 대상(목적어) 영역에 앉긴 문장을 취하는 문장입니다.
그런데 앉긴 문장이 목적어 영역에 사용되면서 동사와의 관계에 의해서 앉긴 문장의 주어가 목적격이 되거나,
be 동사가 생략되기도 합니다.
🚀 메타인지 영문법의 다이어그램(구문론)으로 쉽게 습득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
I think he is an honest man.
나는 그가 정직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원어민 감각 : I(나는)... think(생각한다)... he is an honest man.[그는 정직한 사람이다]를


We can call it a paradigm shift of technology.
우리는 그것을 기술의 패러다임 전환이라고 부를 수 있다.
*원어민 감각 : We(우리는)... can call(부를 수 있다)... it a paradigm shift of technology.[그것을(목적격) 기술의 패러다임 전환(이다-생략)]


Gaudi wanted the church to be built only by donations.
가우디는 교회가 오직 기부만으로 지어지기를 원했다.
*원어민 감각 : Gaudi(가우디는)... wanted(원했다)... the church to be built only by donations.[교회가 오직 기부만으로 지어지다.]를


* 본 자료의 저작권 및 특허권은 메타인지 CLASS에 있습니다.
학원·공부방 등 영리 목적의 이용은 메타인지 CLASS로 문의하세요
5가지 문형으로 나눈 것을 영어 문장의 5형식이라고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영어 문장의 패턴입니다. * 별도로 문장의 5형식을 학습할 필요는 없습니다.
메타인지 영문법에서는 문장의 5형식이 어떻게 표현되는지 기존 영문법과 비교해 보세요
1형식 - 주어(S)+동사(V)
대상(목적어나 보어) 없이 주어, 동사, 배경 등으로만 이루어진 문장이며
이때의 동사는 완전자동사라고 합니다.
Ma gets up early.
엄마는 일찍 일어난다.


2형식 - 주어(S)+동사(V)+보어(C)
2형식을 이루는 동사는 보어가 있어야 문장이 완성되므로 불완전자동사라고 하며
이때 보어는 주어의 성질, 상태를 설명하는 주격 보어라고 합니다.
메타인지 영문법에서는 보어를 2가지 형태로 나눕니다.
1. 보어로 명사가 쓰였을 때는 '일반 대상(노란색 표시)'으로 사용하며 be 동사는 한국어의 '~이다'로 해석합니다.
He was an RAF pilot.
그는 영국 공군 조종사였다.


2. 보어로 형용사가 사용되었을 때는 '상태 대상'으로 표기하며 살색으로 표시합니다.
이때 be 동사는 한국어의 '~상태이다'로 해석하며 상태 대상과 함께 쓰여 한국어의 합성어화 됩니다.
그리고 상태, 상태의 변화, 상태의 외형, 상태의 감각(keep, grow, seem, get, taste) 등을 취하는 동사들과
함께 쓰여 한국어의 합성어화 됩니다.
*한국어와는 다른 구조의 표현입니다. 꼭 숙지해 주세요~
The net is huge.
그 그물은 거대하다.
*원어민 감각 : The net(그 그물은)... is(상태이다)... huge.(거대한)
→ 한국어 : (상태이다)+(거대한) = '거대하다.' 합성어화 사용


3형식 - 주어(S)+동사(V)+목적어(O)
주어, 동사, 일반 대상(목적어)을 갖는 문장으로
이때의 동사는 완전타동사라고 합니다.
I hate rats.
나는 쥐를 싫어한다.


4형식 - 주어(S)+동사(V)+목적어1(O1)+목적어2(O2)
대상(목적어)을 2개(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취하는 문장입니다.
일반적으로 간접목적어는 '~에게'로, 직접목적어는 '~을/를'로 해석합니다.
이때의 동사는 '~에게 ···을 주다'라는 의미에서 수여동사라고 합니다.
He teaches me English twice a week.
그는 일주일에 두 번 나에게 영어를 가르친다.


5형식 - 주어(S)+동사(V)+목적어(O)+보어(C)
5형식은 대상(목적어) 영역에 앉긴 문장을 취하는 문장입니다.
그런데 앉긴 문장이 목적어 영역에 사용되면서 동사와의 관계에 의해서 앉긴 문장의 주어가 목적격이 되거나,
be 동사가 생략되기도 합니다.
🚀 메타인지 영문법의 다이어그램(구문론)으로 쉽게 습득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
I think he is an honest man.
나는 그가 정직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원어민 감각 : I(나는)... think(생각한다)... he is an honest man.[그는 정직한 사람이다]를


We can call it a paradigm shift of technology.
우리는 그것을 기술의 패러다임 전환이라고 부를 수 있다.
*원어민 감각 : We(우리는)... can call(부를 수 있다)... it a paradigm shift of technology.[그것을(목적격) 기술의 패러다임 전환(이다-생략)]


Gaudi wanted the church to be built only by donations.
가우디는 교회가 오직 기부만으로 지어지기를 원했다.
*원어민 감각 : Gaudi(가우디는)... wanted(원했다)... the church to be built only by donations.[교회가 오직 기부만으로 지어지다.]를


* 본 자료의 저작권 및 특허권은 메타인지 CLASS에 있습니다.
학원·공부방 등 영리 목적의 이용은 메타인지 CLASS로 문의하세요
전체 0
전체 19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19 |
19. 현재 진행형(am, are, is + 동사~ing), 과거 진행형(was, were + 동사~ing)
meta
|
2022.02.07
|
추천 0
|
조회 1346
|
meta | 2022.02.07 | 0 | 1346 |
18 |
18. 조동사의 기본 사용 규칙
meta
|
2022.02.07
|
추천 0
|
조회 448
|
meta | 2022.02.07 | 0 | 448 |
17 |
17. 조동사(can, will, must, should, shall, may, could, would, might)
meta
|
2022.02.04
|
추천 0
|
조회 933
|
meta | 2022.02.04 | 0 | 933 |
16 |
16. 빈도 부사(always, usually, often, frequently, sometimes, seldom, rarely, hardly, never)
meta
|
2022.02.04
|
추천 0
|
조회 2089
|
meta | 2022.02.04 | 0 | 2089 |
15 |
15. 일반 동사 과거 시제 의문문과 일반 동사 과거 시제의 부정문
meta
|
2022.01.28
|
추천 0
|
조회 686
|
meta | 2022.01.28 | 0 | 686 |
14 |
14. 일반 동사의 과거형과 불규칙 동사의 과거형 변화
meta
|
2022.01.28
|
추천 0
|
조회 3469
|
meta | 2022.01.28 | 0 | 3469 |
13 |
13. 상태 대상을 받는 동사(go, come, run, get, grow, turn, continue, keep, remain, prove.. 등)
meta
|
2022.01.25
|
추천 0
|
조회 1557
|
meta | 2022.01.25 | 0 | 1557 |
12 |
12. 감각 동사 Sensory Verb(look, smell, taste, sound, feel)와 형용사 - 한국어의 합성어화
meta
|
2022.01.25
|
추천 0
|
조회 4636
|
meta | 2022.01.25 | 0 | 4636 |
11 |
11. 일반 동사의 부정문과 의문문 정리
meta
|
2022.01.19
|
추천 0
|
조회 2979
|
meta | 2022.01.19 | 0 | 2979 |
10 |
10. 일반 동사의 Yes/ No 의문문에 Do를 사용하는 이유는?
meta
|
2022.01.19
|
추천 0
|
조회 1686
|
meta | 2022.01.19 | 0 | 1686 |
9 |
9. 일반 동사의 부정문에 do not을 사용하는 이유는?
meta
|
2022.01.19
|
추천 0
|
조회 1106
|
meta | 2022.01.19 | 0 | 1106 |
8 |
8. 일반 동사의 현재형과 3인칭 단수 현재형의 동사 변화
meta
|
2022.01.19
|
추천 0
|
조회 1398
|
meta | 2022.01.19 | 0 | 1398 |
7 |
7. 한국어와 다른 be 동사의 Yes/No 의문문
meta
|
2022.01.19
|
추천 0
|
조회 557
|
meta | 2022.01.19 | 0 | 557 |
6 |
6. 한국어와 다른 be 동사의 3가지 쓰임
meta
|
2022.01.19
|
추천 0
|
조회 1034
|
meta | 2022.01.19 | 0 | 1034 |
5 |
5. 1인칭, 2인칭, 3인칭과 be 동사의 쓰임
meta
|
2022.01.19
|
추천 0
|
조회 1581
|
meta | 2022.01.19 | 0 | 1581 |